관절 클리닉

Home > 관절 클리닉 > 무릎 관절 질환 > 장경인대증후군

장경인대증후군
01 장경인대증후군이란?
무릎 바깥쪽 통증, 달리기만 하면 아프다면?
반복적인 운동으로 무릎 옆이 아프다면 장경인대증후군, 일명 러너스 니(Runner’s Knee)일 수 있습니다.

장경인대증후군은 허벅지 바깥쪽에서 무릎 바깥쪽까지 이어지는 두꺼운 인대 조직인 장경인대(iliotibial band)가 반복적인 마찰과 자극을 받아 무릎 바깥쪽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.

달리기나 자전거, 등산 등과 같이 무릎을 반복적으로 굽혔다 펴는 운동을 할 때 많이 발생하며, 그래서 흔히 ‘러너스 니(Runner’s Knee)’라고도 불립니다.
02 장경인대증후군의 발병 원인
 
달리기, 자전거 타기, 하이킹 등 반복적 무릎 사용
갑작스러운 운동량 증가 또는 과도한 트레이닝
스트레칭 부족으로 인한 장경인대 긴장
대퇴사두근(허벅지 근육) 약화 또는 근육 불균형
평발, O다리, 다리길이 차이 등 하지 정렬 문제
단단하고 경사진 지면에서의 운동 습관
03 장경인대증후군의 주요 증상
 
무릎 바깥쪽 통증, 특히 달리거나 계단을 내려올 때
운동 시작 후 일정 거리에서 점차 통증 심화
통증 부위를 누르면 찌릿하거나 욱신거림
운동 중 멈추면 통증이 가라앉지만, 다시 시작하면 재발
오래 앉아 있다 일어날 때 무릎 옆이 당기고 아픔
초기에는 가벼운 불편감으로 시작되지만, 방치하면 만성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04 검사 및 진단
  • 환자의 운동 습관, 증상 발현 시점 확인
  • 무릎 바깥쪽 압통 여부, 움직일 때 통증 유발 여부 평가
  • 초음파 검사
  • MRI 검사
  • 필요시 하지 정렬 및 보행 분석 (족저압 검사 등) 시행
05 장경인대증후군의 치료 방법
A 보존적 치료 방법
ㆍ약물,물리 치료
비교적 증상이 적거나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증상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염증을 줄이기 위한 소염진통제 처방과
전기자극치료, 온열치료, 초음파 치료로 염증 완화 및 회복 촉진

ㆍ체외충격파 치료
만성 염증이나 통증 부위에 자극을 주어 조직 재생 촉진

ㆍ스트레칭 및 재활운동 / 자세교정 및 테이핑 치료
장경인대 스트레칭과 고관절 및 대퇴부 근육 강화운동 병행과 함께 잘못된 보행습관이나 하지 정렬 이상 개선
B 수술적 치료 방법
ㆍ 관절내시경 / 최소침습 수술
비수술 치료 6개월 이상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, 장경인대 내 섬유화, 유착, 낭종 형성 등이 확인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. 관절내시경 또는 최소절개를 통해 장경인대 일부 절개 또는 유착 조직 재거술을 시행합니다.